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예방

적록색약을 알아봅니다

by 건강한blog 2023. 2. 8.
728x90

 

넷플렉스에서 핫하게 떠오르는 드라마 '더 글로리'를 보셨나요. 청소년기에 겪어 인생을 험난하게 살게 되고 가해자들에게 복수를 준비하는 계획적인 복수극을 그린 김은숙 작가의 작품입니다. 드라마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 재준이라는 캐릭터의 특징을 보면 특별한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재준은 색각이상을 가지고 있는데 이 색각이상은 색을 잘 구분할 수 없는 증상을 말합니다. 색각이상은 색맹증이라 하여 색깔에 대한 인식이 결핍되어 개인이 색채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이를 무채색증이라고도 말하며, 선천성, 유전성, 후천성에 따른 종류가 있습니다.

 

 

색약과 색맹의 차이를 알아봅니다

색약과 색맹은 색각 이상으로 분류된 질환인데, 선천적으로 색깔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색약은 색을 식별하는 능력이 부족한 정도가 색맹보다 약할 때를 말하고 심하다면 색맹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정상시력을 가진 사람은 빨강/초록/파랑의 3가지 색을 혼합해 색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는데 1개의 색이 불완전할 때를 색약, 2개의 색이 불완전할 때 색맹이라고 합니다. 선천적으로 유전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예가 많습니다.

 

부모로부터 각각 하나의 염색체를 얻게 되어 상응하는 특성을 물려받게 되는데, 색맹은 이와 같이 성염색체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X염색체와 Y염색체에 따라 생물학적 성별이 결정됩니다. 그리고 그 특성은 X염색체에 의해서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남자아이들은 색맹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두 개의 X염색체를 가진 소녀들은 하나의 운반체 염색체를 물려받을 확률에 의존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그들이 완전히 색맹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기도 합니다.

 

 

전색맹과 후색맹으로 구분합니다

  • 전색맹이란 색을 구별하는 능력이 전혀 없어서 명암이나 농담만 구분할 수 있는 정도이며,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 부분색맹이란 일부의 색을 구별하지 못하거나 무색으로 보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부분색맹을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적록색맹과 청황색맹입니다.

 

 

적록색약을 알아봅니다

부분색맹에서 나뉘는 적록색맹에서 색맹보다 약하게 나타나는 것이 색약이라고 위에서 말했습니다. 적록색약은 가장 흔한 형태의 색결핍이고 유전적으로 타고나는 선천적 질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증에 해당할 경우 치료법은 없지만 교정 콘택트렌즈나 안경을 착용하여 일상생활에서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적록색약(색맹)은 빨강과 초록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종류로 4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신우테라노마증 녹색을 더 붉게 보이게 합니다.
  • 원시종 빨간색이 더 초록색으로 보이게 합니다.
  • 프로타노피아, 듀어터노피아 둘 다 빨간색과 녹색의 중간에 있어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색약/색맹의 제한된 직업을 알아봅니다.

적록색약의 제한된 직업

현금출납원, 전문기술사, 사진사, 주류제조, 소형차량 운전기사 등

색맹, 색약 모두 제한된 직업

디자이너, 공예미술가, 영화촬영기사, 버스운전기사, 항공기조종사, 항해사, 전기기술자, 의사, 장교 등


 

후천적으로는 발생하는 원인을 알아봅니다

  • 망막혈관 질환
  • 망막의 변성과 염증
  • 녹내장
  • 시신경염
  • 황반변성과 치매를 포함한 노화 관련 질환
  • 항말라리아제 부작용
  • 고혈압, 정신건강장애, 자가면역질환 및 감염에 대한 처방약으로 인할 수 있습니다.
  • 기타 망막이나 시신경과 관련한 다양한 질환에 의해 발생됩니다.

 

 

색맹을 발견할 수 있는 시기

아이가 색맹인 경우 4살 정도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색깔을 같다고 말하거나 색깔에 따라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아이들은 블록을 분류하거나 색칠공부를 하는 활동을 하면서 명확히 확인할 수 있으니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유심히 지켜보아야 합니다.  색맹이 있는 아이들은 일부 색을 혼동하지만, 시력은 분명해야 합니다. 

색맹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별한 과정이 없이 더 나빠지거나 나아지진 않습니다.

 

 

 

 

 

반응형
LIST